반응형
최근에 충치 이외에 꾸준히 오는 환자 중에 일부는 턱관절 장애를 겪는 분들이 많은데 우리나나 사람 3명 중 1명은 턱관절 문제를 겪어본 적이 있을 정도로 굉장히 많아지고 있는 추세인데요. 치위생사로 15년 이상 근무하는 저 또한 턱관절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.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총 동원해 턱관절증상 및 치료방법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.
턱관절 장애란?
잘못된 생활습관, 외상, 스트레스등 여러 요인으로
턱관절에 있는 디스크가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
전체적인 턱관절의 균형이 틀어져
턱관절의 기능적 문제가 생기는 것
턱관절 증상
아래의 증상이 반복되거나 지속될 경우에는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.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통증 및 운동장애도 일어나지만 주위 근육의 이상 또한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음식을 섭취하거나 입을 벌릴때의 턱의 통증
- 입을 벌리거나 말할 때 딱딱 소리가 나는 턱관절 잡음 - 딱딱 소리, 사각사각소리처럼 무언가 갈리는 소리 이런 경우는 턱관절이 많이 진행된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.
- 입을 열고 닫기 힘든 개구장애
- 턱이 한쪽으로 틀어지기도 하고 못 다무는 증상
- 턱이 자주 빠지는 증상
- 만성두통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
턱관절 장애 자가진단
턱관절은 손상되면 회복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손상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료를 빨리 시작해야 하는데 본인이 증상을 잘 모르겠다면 자가진단을 해보는 게 좋습니다.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세 손가락을 나란히 붙여서 입에 넣기
- 정상 --> 세손가락이 입에 들어감
- 턱관절 장애의심 --> 세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입이 벌어지지 않음
턱관절 증상의 원인
- 입 크게 벌리기 - 하품, 부피나 크기가 큰 음식의 식사
- 질거나 단단한 음식 자주 섭취하는 경우 - 마른오징어, 쥐포, 통아몬드 등 단단한 음식은 턱의 피로도를 증가시킴
- 구강 악습관 - 이 악물기, 이갈이, 손톱 물어뜯기 , 책상에서 턱괴는 자세등 (제가 잠잘 때 이 악물기, 이갈이 습관을 가지고 있어서 턱관절이 악화되고 있습니다.)은 측방으로 누르는 힘으로 목뼈와 턱에 무리를 주기에 관절에 무리가게 합니다.
- 한쪽으로만 음식 섭취하는 습관
- 스트레스 - 만병의 근원으로 턱관절 주위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켜 염증유발이나 디스크 변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턱관절장애 치료를 꼭 해야 하는 이유
많은 분들이 심한 통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알아서 자연 치유되겠지 하는 마음으로 방심할 수 있는데요.제가 20년 동안 턱관절장애를 지켜봐 온 결과 초기에 할 수 있으면 꼭 해야 합니다.
- 방치시 치유되기보다는 상태를 점점 악화시킵니다.
- 초기에는 비교적 간단한 치료방법으로 개선이 가능하지만 상태가 심각할 시 치료가 점점 어려워집니다.
- 다른 증상들을 동반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인데 현재 제가 턱관절이 심할 시 동반으로 같이 겪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턱관절 심한 날은 두통, 어깨 뭉침이 심해지고 속이 울렁거리는 증상까지 동반합니다.
턱관절장애 치료방법

- 약물치료 - 턱관절에 염증이 생긴 경우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항생제 등의 약물들로 치료를 합니다.
- 턱관절 스플린트장치
- ---> 이 악물기 , 이갈이 같은 턱에 힘을 강하게 주는 경우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를 인위적으로 방지? 까지는 못해도 턱관절장애가 심해지는 것은 막을 수 있고, 현대 의학으로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.(대학병원에서는 턱관절수술도 하지만 예후가 많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.)
- --> 스플린트 장치는 어금니를 약 2~5mm정도 떨어뜨린 채 유지하면 턱뼈의 상태가 안정된 위치로 유도되어 증상을 완화시키는 원리입니다.
- --> 이갈이 방지목적 있습니다.이갈이하면 턱관절 악화 및 치아를 마모시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키는데 스플린트장착 시 턱관절을 보호하고 치아마모 대신 스트린트 장치를 마모시키므로 치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.
- 물리치료 - 레이저,적외선,저주파를 이용해 관절부위와 근육부위를 풀어주는데 1주에 2~3회 꾸준히 받으면 효과가 나타납니다.(집에서는 따뜻한 온찜질을 하여 관절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게 중요합니다.)
- 딱딱하고 질긴음식 피하기 - 마른오징어, 쥐포 같이 잘근잘근 오래 씹는 음식은 턱관절의 피로도를 높여서 악화시킵니다.
어릴 때는 턱관절이 있어도 회복능력이 좋아서 금방 회복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악화는 되고 치료는 점점 힘들어지는 것 같습니다. 우리 모두 악화시키지 말고 조기발견, 치료하여 턱관절장애 없는 편안한 삶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.
반응형